샤방이의 블로그
작년 합계출산율 1.17명 출산율 최저 인구절벽 고령산모 늘어나 본문
30대 후반 출산율 증가 추세…4명 중 1명은 35세 이상 '고령산모'
통계청, 2016년 출생 통계 발표
지난해 출생아 수가 줄어들면서 합계출산율이 7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여성의 출산 연령이 높아지면서 아기를 낳은 여성 4명 중 1명은 35세 이상 고령 산모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16년 출생 통계(확정)를 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40만6천200명으로 전년보다 3만2천200명(7.3%) 줄었습니다.
출생아 수는 2013년부터 2년 연속 감소하다가 2015년 3천명 증가했지만 지난해 다시 큰 폭으로 줄어들었습니다.
이에 따라 인구 1천 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組)출생률은 7.9명으로 0.7명 줄었습니다.
여자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전년보다 0.07명 감소한 1.17명이었습니다.
이는 2009년 1.15명을 기록한 이후 7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합계출산율은 2005년 1.08명으로 바닥을 찍은 뒤 2012년 1.30명까지 올랐지만 최근 다시 떨어져 1.20명 내외를 맴돌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주요 선진국과 비교해 여전히 바닥 수준입니다.
2015년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평균 출산율은 1.68명으로 우리나라(1.24명)와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초혼 연령이 늦어지면서 30대 초반 이하의 출산율은 감소하고 30대 후반 이상 출산율은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25∼29세의 출산율(인구 1천 명당 출생아 수)은 56.4명, 30∼34세 출산율은 110.1명으로 전년보다 6.7명(10.6%), 5.7명(5.7%) 감소했습니다.
반면 35∼39세, 40∼44세는 각각 0.4명(0.8%), 0.3명(5.4%) 늘어난 48.7명, 5.9명이었습니다.
산모의 평균 출산 연령도 전년보다 0.2세 상승한 32.4세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35세 이상 고령 산모 구성비는 26.4%로 전년보다 2.5%포인트(p) 상승했습니다.
2006년 35세 이상 고령 산모 비중이 11.8%였다는 점에 비춰보면 상승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저출산 현상이 계속되면서 첫째 아이 비중은 지속해서 늘어나고 있습니다.
지난해 첫째 아이 비중은 52.5%로 전년보다 0.2%p 늘었으며 첫째 아이 구성 비중은 2011년 51.0%를 기록한 이후 6년 연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결혼 후 2년 이내에 첫째 아이를 낳는 비율은 68.1%로 전년보다 1.3%p 감소했습니다. 반면 2∼3년 사이 첫째 아이를 낳는 비율은 22.3%로 0.6%p 증가했습니다.
여아 100명당 남아 수를 뜻하는 출생 성비는 105.0명으로 전년보다 0.3명 감소했습니다.
혼인 외 출생아 수는 7천800명으로 전년보다 400명 줄었으며 출생아 중 비중은 전년과 비슷한 1.9%를 유지했습니다.
쌍둥이 등 동시에 두 명 이상이 함께 태어난 다태아는 1만5천734명으로 전년보다 432명 줄었습니다. 다태아 산모의 평균 연령은 33.6세로 한번에 한명의 아이를 출산한 산모의 평균 연령보다 1.2세 많았습니다.
임신 기간 37주 미만 조산아 구성비는 7.2%로 전년보다 0.3%p 증가했습니다.
임신 기간이 37주 미만인 산모의 평균 연령은 33.0세로 37∼41주의 평균 연령(32.4세)보다 0.6세 많았습니다.
출생아 체중은 3.20kg으로 전년과 동일한 수준이다. 출생아 체중은 꾸준히 감소하다가 2013년 3.20kg에 멈춰 선 뒤 4년 연속 같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전체 출생아 중 2.5kg 미만 저체중아와 4.0kg 이상 과체중아 구성비는 각각 5.9%, 3.3%로 전년보다 각각 0.2%p, 0.1%p 증가했습니다.
1996년과 비교하면 저체중아 구성비는 약 2배 증가했지만 과체중아 구성비는 절반 수준으로 줄었습니다.
지난해 국내 출생아 수가 역대 최저로 굴러떨어졌습니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16년 출생 통계’에 따르면 작년 전국의 출생아 수는 40만 6200명으로 1년 전보다 3만 2200명(7.3%) 줄었습니다. 이는 통계청이 올해 2월 공개한 출생 통계 잠정치(40만 6300명)보다도 100명 감소한 것으로, 1970년 통계 집계 이래 사상 최저치입니다.
주요 출산 나잇대인 30~34세 여자 인구가 지난해 전년보다 10만 1000명 줄어든 여파입니다.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粗)출생률도 7.9명으로 2015년보다 0.7명(8.1%) 줄었으며 조출생률이 8명 미만으로 내려간 것은 처음입니다.
작년 합계 출산율은 1.17명으로 1년 전보다 0.07명(5.6%) 감소했습니다. 합계 출산율은 여자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평균 출생아 수입니다. 작년 합계 출산율은 2009년(1.15명) 이후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34개국의 평균 합계 출산율은 2015년 기준 1.68명으로, 한국보다 0.5명 이상 높습니다.
통계청은 현재 인구 규모를 유지하기 위한 대체 출산율을 출생아 성비, 가임기 여성의 사망률 등을 고려해 2.1명으로 보고 있습니다. 지금 추세가 이어지면 장기적으로 인구 감소가 불가피하다는 것입니다.
작년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오직 세종시에서만 출생아 수가 1년 전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결혼을 늦추고 아이를 늦게 낳는 경향이 심화하는 가운데 출산하는 여성의 평균 나이는 서울 서초구가 가장 높았던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16년 출생 통계(확정)'를 보면 작년 17개 시도별 출생아 수는 오직 세종(21.8%)에서만 전년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년과 비교한 출생아 수는 전북(-9.9%)·대전(-9.7%)·서울(-9.0%)에서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인구 1천 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組)출생률은 세종(14.6명)·울산(9.4명)·제주(8.7명) 순으로 높았고, 강원(6.5명)·전북(6.8명)·부산(7.2명) 순으로 낮았습니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세종(1.82명)·전남(1.47명)·제주(1.43명) 순으로 높았습니다. 서울(0.94명)·부산(1.10명)·인천(1.14명) 순으로 낮았습니다.
시도 간 합계출산율 격차는 0.88명으로, 20대 후반과 30대 초반 출산율에서 지역 간 격차가 생겼다고 통계청은 분석했습니다.
20대 후반의 출산율이 높은 시도는 세종·충남·전남 순이고 30대 초반은 세종·울산·전남 순, 30대 후반은 세종·제주·울산 순이었습니다.
출산하는 여성의 평균 나이는 서울(33.07세)에서 가장 높았다. 충남(31.58세)에서 가장 낮았습니다.
전년과 비교할 때 출산 나이 증가 폭이 큰 시도는 전남(0.26세)·부산(0.23세) 등이었습니다.
첫째아 출산까지 결혼 생활 기간은 서울(2.06년)이 가장 길었고, 전북(1.60년)이 가장 짧았습니다.
서울은 출생아 중 첫째아 비중이 58.9%로 가장 높았지만, 셋째아 이상의 구성비는 6.3%로 가장 낮았으며 아이를 가진다고 해도 2명 이상은 그만큼 낳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셋째아 이상의 구성비는 제주(17.0%)가 가장 높았고 제주는 출생 성비(여아 100명당 남아 수)도 108.1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그래픽] 작년 합계출산율 1.17명…7년 만에 최저 수준
출생 성비가 가장 낮은 곳은 광주(102.7명)였습니다.
서울·울산·경기·강원 등 8개 시도에서는 전년보다 출생 성비가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쌍둥이 등 다태아 비중은 서울·부산(4.3%)이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제주(2.9%)가 가장 낮았습니다.
전국 출생아의 99.3%는 병원에서 태어났다. 병원의 비율은 세종(99.6%)에서 가장 높았고 전북(99.0%)에서 가장 낮았습니다.
시군구별로 보면 합계출산율은 전남 해남군(2.42명)에서 가장 높았고 서울 관악구·종로구(0.78명)에서 가장 낮았습니다.
합계출산율이 대체출산율(2.1명, 현재 인구규모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수준)을 넘는 지역은 2015년까지 전국에 4개 시군구가 있었으나, 작년에는 해남군이 유일했습니다.
상위 10순위 시군구의 출생아 수는 전체의 18.9%를 차지했다. 10순위 중 6곳은 경기 지역이었습니다.
전국에서 출산 나이가 가장 많은 시군구는 서울 서초구(33.54세)였다. 10순위 중 9곳이 서울이었습니다.
출산 나이가 가장 낮은 시군구는 강원 양구군(30.65세)으로, 30세보다 낮은 곳은 단 한 곳도 없었습니다.
셋째아 이상 출생아 구성비는 전북 임실군(24.1%)이 가장 높았으며 꼴찌는 서울 용산구(4.5%)였습니다.
셋째아 이상 출생아 수 자체가 가장 많은 곳은 경기 수원(896명)이었습니다.
인구절벽문제 정말 말로만 들었는데 갈수록 심각해 지고 있습니다. 주변에도 애 한명 이상을 낳은집을 찾기가 쉽지가 않더라구요.
먹고 살기가 힘들어 지니 결혼하는 사람도 점점 줄어들고 더더욱이 아이들 낳고 사는 사람들은 더 찾아보기 힘들어질 지경인데요
하루빨리 나라가 안정을 찾아서 정책적으로도 많이 보완이되어 아이들을 많이 낳고 사람답게 사는 그런 나라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속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문대 의대생 사칭한 20대 고졸 무직남, 유부녀 돈뜯고 8명 만나며 성관계 몰카 (1) | 2017.09.01 |
---|---|
새벽시간 아내 살해하고 시신유기한 50대 경찰조사서 이런말해 (0) | 2017.08.30 |
검찰 인천 초등생 유괴 살인범에게 무기징역, 징역20년 구형 (0) | 2017.08.30 |
한국은행 이천원권 평창동계올림픽 기념지폐 11월 230만장 발행 (0) | 2017.08.29 |
60개월~초등학생 325만명 독감 백신 무료 인플루엔자 유치원 어린이집 무상 (0) | 2017.08.29 |